강지훈 부산백병원 교수 개발 심폐소생술 기법, 美 AHA 등재

강지훈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심폐소생술 기법이 올해 미국심장협회(AHA) 가이드라인에 등재됐다고 3일 인제대 부산백병원이 밝혔다.병원 측에 따르면 미 심장협회가 최근 발표한 '2025 심폐소생술(CPR) 및 응급 심혈관치료(ECC) 가이드라인'에 소아 심폐소생술시 구조자의 효율적 자세를 설명하는 권고별 근거해설에 '엘보 락 흉부 압박 기법'이 포함됐다.강 교수 연구팀은 2022년 국제학술지 '피디아트릭 이머전시 케어'(Pe
강지훈 부산백병원 교수 개발 심폐소생술 기법, 美 AHA 등재

해운대백병원, 심평원 결핵 COPD 적정성 평가 '1등급'

인제대 해운대백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발표한 제7차 '결핵 적정성 평가'와 제10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 결과에서 모두 1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병원 측에 따르면 이번 결핵 적정성 평가는 작년 1~6월 결핵 환자에 대한 입원 및 외래진료를 시행한 전국 50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됐다.주요 평가 항목은 △결핵균 확인 검사 실시율 △통상 감수성검사 실시율 △신속 감수성검사 실시율 △약제 처방 일수율
해운대백병원, 심평원 결핵 COPD 적정성 평가 '1등급'

부산백병원, 음성인식 AI 기반 스마트병원 구축

인제대 부산백병원은 학교법인 인제학원, 인공지능(AI)·음성인식 전문기업 셀바스AI와 함께 음성인식 AI 기반 스마트병원 구축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전날 이들 기관은 '음성인식 AI 기반의 스마트병원 구축을 위한 공동 개발협력' 계약을 체결했다.부산·상계·일산·해운대백병원으로 구성된 백중앙의료원이 보유한 의료데이터와 셀바스AI의 음성지능 기술을 결합해 진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대화를 자동 분석·요약해 의무기록으로 저장하는 AI 시스템을 공동 개
부산백병원, 음성인식 AI 기반 스마트병원 구축

김관우·장은정 동아대병원 교수팀, 로봇 활용 췌장 수술 시연 성공

동아대병원은 최근 김관우·장은정 동아대병원 간담췌외과 교수팀이 수술로봇 '다빈치 Xi'를 이용한 유문보존췌십이지장절제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7일 밝혔다.최근 가톨릭대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한국최소침습췌장수술연구회가 주최하는 학술토론회가 열렸다.이 자리에 참석한 국내외 췌장외과 분야 전문가들은 '로봇 췌장수술의 발전'을 주제로 최신 기술과 임상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김관우·장은정 교수팀은 약 6시간에 걸쳐 로봇 시스템을 활용
김관우·장은정 동아대병원 교수팀, 로봇 활용 췌장 수술 시연 성공

해운대백병원, 로봇수술로 '고난도 수술' 성공

인제대 해운대백병원이 심한 요관 협착으로 신장에 소변이 고이는 '수신증' 환자에게 소장 절제술과 소장요관 문합술을 로봇수술로 동시에 시행해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0일 밝혔다.이번 수술은 이 병원 오철규 비뇨의학과 교수와 정원범 대장항문외과 교수의 협진으로 진행됐다.병원 측에 따르면 대상 환자는 우측 요관 약 15㎝ 구간에 심한 협착이 발생해 자가 요관 문합술이 불가능한 상태였다.이 환자 같은 중증 요관 협착 환자는 치료시 일반적으로 경피적 신루
해운대백병원, 로봇수술로 '고난도 수술' 성공

박병규 해운대백병원 교수, 대한소아청소년정형외과학회 우수논문상

인제대 해운대백병원은 박병규 소아정형외과 교수가 최근 열린 대한소아청소년정형외과학회 제41차 추계 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 대상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수상 논문은 '뇌성마비 환자의 편평외반족 변형에서 시행된 종골 연장술의 치료 결과'라는 주제로 작성됐다.이 연구는 박 교수와 김현우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교수팀이 공동 수행했다. 연구팀은 뇌성마비 환자의 발 변형 교정을 위해 널리 시행되는 수술법을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관찰, 그
박병규 해운대백병원 교수, 대한소아청소년정형외과학회 우수논문상

해운대백병원, 다빈치 SP 로봇수술 300례 돌파

인제대 해운대백병원은 최근 '다빈치 SP 로봇 수술' 300례를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병원 측에 따르면 수술 로봇 '다빈치 SP'는 약 2.5㎝의 단일 절개창을 통해 수술할 수 있는 최신 로봇수술 시스템이다.이 로봇의 팔엔 3개의 수술 기구와 3차원 고해상도 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좁고 깊은 부위에서도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다는 게 병원 측 설명이다. 특히 절개 부위가 최소화돼 감염·흉터를 줄이고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동시에 빠른 회복과
해운대백병원, 다빈치 SP 로봇수술 300례 돌파

부산대병원, 지역 최초 다빈치 로봇수술 5000례 달성

부산대병원은 부산 지역 최초로 다빈치 로봇수술 5000례를 달성했다고 1일 밝혔다.로봇수술은 집도의의 손 떨림까지 보정해 정밀한 절개와 봉합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출혈과 합병증 위험을 줄이고, 절개 부위를 최소화해 통증을 덜어주며 회복 속도를 앞당길 수 있다.병원은 2013년 수술로봇 '다빈치 Si'를 도입한 뒤 다빈치 Xi, 다빈치 SP 등을 추가 도입해 환자 특성과 수술부위에 최적화된 맞춤형 로봇 수술을 제공 중이다.지난해 11월 400
부산대병원, 지역 최초 다빈치 로봇수술 5000례 달성

부산백병원, '건강정보 고속도로' 사업 참여 기념 행사

인제대 부산백병원은 25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추진하는 '건강정보 고속도로' 사업 참여를 기념하며 현판 증정식과 홍보부스 행사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건강정보 고속도로'는 여러 의료기관에 분산돼 있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해 환자 본인이 직접 열람할 수 있도록 한 플랫폼이다.환자들은 '나의건강기록 앱'을 통해 각 의료기관에 저장된 본인의 진료이력, 각종 검사 결과 등 기록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조회할 수
부산백병원, '건강정보 고속도로' 사업 참여 기념 행사

부산백병원, 근접 방사선 치료기 '플렉시트론' 도입

인제대 부산백병원은 부산·울산·경남 최초로 부인암 환자를 위한 근접 방사선 치료기 '플렉시트론'(Flexitron)을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이 치료기는 오는 29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된다.근접 방사선 치료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체내 또는 조직에 삽입한 뒤 고선량의 방사선을 직접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진다.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등 부인암에서 필수적인 치료이며 식도암, 담도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의 치료에도 적용 가능하다.플렉시트론은 체내에
부산백병원, 근접 방사선 치료기 '플렉시트론' 도입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